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억 아파트 재산세 계산하기

by oxford0332 2025. 7. 22.

 

실제 계산 예시로 확인하고 절세까지 챙겨보세요

아파트 가격은 오르는데, 정작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몰라 불안했던 분들 많으시죠.

 

특히 공시가격 5억 원대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면, 재산세 부담이 꽤나 체감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5억 아파트 재산세를 실제 수치로 계산해보고, 감면 조건과 납부 팁까지 꼼꼼히 안내드릴게요.

위택스로 세금 납부하면서 카드 혜택도 챙길 수 있는 방법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위택스 바로가기

 

5억 아파트 재산세

공시가격 5억, 실제 재산세는 얼마? 계산으로 알아봅니다

 

재산세는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과세표준을 산정하고, 여기에 세율을 곱해 부과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공정시장가액 비율은 60%, 과세표준은 5억 × 0.6 = 3억 원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에 누진세율 구조가 적용되는데요. 1세대 1주택이라면 다음 구간별로 계산됩니다.

 

  • 과세표준 3천만 원 이하: 0.1%
  • 3천만 원 초과~1억5천만 원 이하: 0.15%
  • 1억5천만 원 초과~3억 원 이하: 0.25%

 

과세표표준 공시가격 확인방법

 

3억 원 기준 예상 재산세는 약 78만 원 내외이며,

이 외에도 지방교육세(재산세의 20%)와 도시지역분(도시지역에 따라 부과)가 추가됩니다.

특히 도시지역분은 재산세 과세표준의 0.14%까지 더해질 수 있어요. 따라서 최종 납부세액은 총 90만 원 안팎이 될 수 있습니다.

 

1세대 1주택자라면 감면 대상일 수 있어요

단독명의, 실제 거주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재산세 감면이 가능합니다.

1세대 1주택자에게는 2025년 기준 다음과 같은 감면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시가격 3억 이하: 100% 감면 (일정 금액까지)
  • 공시가격 3억~6억 이하: 최대 50% 감면
  • 공시가격 9억 이하: 1세대 1주택자라면 세율 특례 적용

 

5억 원 아파트는 감면 적용 대상이며, 실제 세액이 10~20% 낮아질 수 있습니다.

예컨대 90만 원이 나왔다면 약 72만~81만 원선으로 절감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실거주 요건, 과세기준일 기준 가족 구성 확인, 타 주택 보유 여부가 중요하니,

국세청 홈택스나 위택스에서 사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택스로 재산세 납부 시, 카드 혜택도 활용하세요

 

재산세는 매년 7월(1기분), 9월(2기분) 두 번 나눠 납부합니다.

가장 편리한 납부 방법은 위택스(www.wetax.go.kr)를 통한 온라인 납부인데요.

공동인증서 없이도 간편 로그인으로 납부 가능하며, 신용카드·간편결제도 지원합니다.

 

특히 일부 카드사는 재산세 납부 시 캐시백 또는 포인트 적립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KB국민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등에서 0.1~1% 수준의 혜택을 제공하며,

네이버페이·삼성페이 등 간편결제 서비스도 프로모션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무이자 할부는 적용되지 않으며, 카드 수수료 정책에 따라 세금 납부 한도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 후 이용하세요.

 

재산세 납부카드 혜택 보기

 

012345678

재산세, 계산 먼저 해보고 절세전략 세우세요

 

지금 내가 낼 세금이 얼마인지 모른다면, 서울시 재산세 자동계산기 또는

국세청 홈택스의 부동산 세금계산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몇 번의 클릭만으로 실제 납부 금액, 감면 여부, 분할납부 가능성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재산세 계산기 바로가기

 

세금은 몰라서 더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5억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면, 단순히 고지서를 기다리기보다 직접 계산해보고, 감면 혜택을 사전 신청하는 것이 유리해요.

정해진 시기에 납부하지 않으면 3% 가산금이 추가되므로, 마감일도 반드시 체크해두시고요.

 

 

지금 할 일은 단 하나.
내 아파트 재산세, 계산해보고 감면 조건 확인하기

필요 시 위택스 납부 바로 진행하고, 카드혜택도 꼭 챙기세요.
본 글을 저장해두면 내년에도 재활용 가능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