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푸른우산관 해파리 제주 함덕 김녕 해변 해수욕장 출몰

by oxford0332 2025. 8. 2.

제주 여행 중 바닷가에서 이상한 파란 동그라미를 본 적 있나요?
플라스틱 조각처럼 보이지만, 실은 열대성 해양 생물 ‘푸른우산관해파리’일 수 있어요.

 

2025년 7월 28일, 제주 함덕·김녕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이 해파리가 대량 출몰했고,

SNS를 통해 "동전처럼 생겼다”는 목격담도 잇따랐습니다.

 

푸른우산관 해파리 이미지가 궁금하다면

 

푸른우산관 해파리 출처 YTN 뉴스

푸른우산관해파리 정체|외형·서식지·출몰 원인

 

푸른우산관해파리는 지름 3~4cm 정도의 둥근 반투명 몸체를 가진 해양 생물입니다.
푸른빛 띠를 두르고 있어 겉보기엔 젤리나 얇은 플라스틱 조각처럼 보여 착각하기 쉽습니다.

 

  • 서식지: 인도양·지중해·태평양 열대 해역
  • 특징: 촉수로 유생과 갑각류 포획
  • 출몰 원인: 수온 상승, 조류 변화, 기후 영향

 

최근 수년간 이례적 출현이 드물었기에, 이번 출몰은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현상으로 해석되고 있어요.

 

푸른우산 해파리 해변 출몰 영상 보기

 

해파리 쏘임 대처법|피부 자극·응급처치 요령

 

전문가에 따르면 푸른우산 해파리는 맹독은 없지만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수준의 독성을 지니고 있어요.

 

쏘였을 때 이렇게 하세요:

 

  •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부위 세척 (독소 희석)
  • 수돗물 금지 (삼투압으로 독침 활성화 위험)
  • 📞 증상 지속 시 119 또는 현장 안전요원 신고

 

사체라도 맨손 접촉은 금물입니다. 죽은 해파리에도 독소가 남아 있기 때문이에요.

 

제주 해수욕장 레저 시 주의사항

 

최근 출몰 지역은 제주 북부 해안(함덕·김녕·월정리·세화 일대)입니다.
피서객·레저 참가자는 아래 사항을 꼭 유의하세요.

 

  • 물놀이 중 푸른색 동그라미 보이면 즉시 해안으로 이동
  • SUP, 스노클링 등 할 땐 긴소매·장갑·레깅스 착용
  • 어린이 모래놀이 중 이물질 접촉 특히 주의
  • SNS에 올릴 경우 사진 + 해양 생물명 표기로 타인 주의 유도

 

레저 업체·안전센터에서도 해양 생물 안내 및 현장 순찰을 강화 중입니다.

 

푸른우산관해파리, 이렇게 기억하세요

 

- 구분 내용 요약

정체 지름 3~4cm, 푸른빛 둥근 해파리
독성 강하지 않으나 피부 자극 가능
응급처치 바닷물 세척 / 수돗물 금지 / 증상 지속 시 신고
출몰 지역 제주 북부 해안 (함덕, 김녕, 세화 등)
주의사항 요약 레저 중 보호 복장 착용 / 아이들 접촉 주의 / SNS로 정보 공유하기